What is Product Led Growth? How to Build a Software Company in the End User Era | OpenView
엔드유저에게 제품을 어떻게 공급하는가?
크롤링과 저작권 침해 고소 진행 일대기 :: Philosophiren
Banksalad Product Language를 소개합니다 | 뱅크샐러드
GPT-3,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언어 AI – 핑퐁팀 블로그
ADR에 대해서는 이미 링크 안에 본문이 너무 잘 정리되어있는데,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.
나도 더 늦기 전에 업무에 ADR을 어떤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되었고, 덩달아 연관 링크를 찾아보게 되었다.
Announcing TypeScript 4.0 | TypeScript
Variadic Tuple Types
concat
, tail
정도의 함수에 활용하는 예제를 넘어 부분 적용 함수를 만들 때, 인자를 전달할 때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. 인자가 정확히 몇개가 들어오는지 구분하고, 그 인자들의 타입도 효과적으로 추론하는게 가능해졌다.Labeled Tuple Elements
[number, number]
라고 표현되던 튜플에 [start: number, end: number]
라고 각 요소에 이름을 붙일 수 있게 된 것이다.Class Property Inference from Constructors
Short-Circuiting Assignment Operators
&&=
, ||=
, ??=
로 해당 연산자의 조건에 맞을 경우 새로운 값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. 이전에 루비를 다룰 때 있던 연산자라 이런 식의 할당이 가능해진게 반갑다.catch
블록에서 에러 객체를 unknown
으로 지정
catch (error) {}
로 잡힌 error
객체는 기본적으로 any
타입이다. 하지만 이렇게 되었을 경우 타입 안정성도 보장하기 어렵다보니 에러 객체를 다루다 실수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.unknown
으로 타입을 지정할 수 있으므로, 에러를 처리하는 쪽에서는 명시적으로 타입 가드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인지시키고 결과적으로 좀 더 안전하게 에러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.커스텀 JSX 팩토리
tsconfig.json
에서 지정해줄 수 있게 되었다.각종 에디터 지원 기능
@deprecated
지원@types
패키지만을 우선적으로 자동 불러오기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에서 발전하여 package.json
파일에 있는 패키지도 자동으로 불러올 수 있도록 별도의 처리를 하는 옵션이 생겼다.새로운 웹사이트
Breaking Changes
lib.d.ts
선언이 변경되었고, 주로 DOM에 대한 타입이 변경되었다.strictNullChecks
옵션을 켰을 때 delete
연산자의 호출 대상은 옵셔널로 처리되어야 한다. Hyeseong’s Blog - TypeScript 튜플 타입 요리하기
Hyeseong’s Blog - Jamstack에서 스타일시트를 최적화하는 법
return null vs undefined
, Mocky 등이 눈에 띈다.Flat vs Hierarchical URL Structure | Joey Hoer’s Blog
/
를 하나 더 추가해도 되는건가? 비교적 평탄하게 URL 구조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? 하고 말이다.Generic Components | React TypeScript Cheatsheets
GitHub - theKashey/use-callback-ref: 🤙The same useRef, but it will callback
use-callback-ref
를 만든 라이브러리 제작자의 코드 스플리팅 라이브러리. 소개하는 기능 표만 봐서는 템플릿 스트링을 사용한 import가 안되는 것 빼고는 @loadable/component
보다 좋아보인다.@loadable/component
를 쓰고 있기 때문에, 이 라이브러리가 훨씬 유용하다면 나중에 교체를 고려해봐도 좋겠다는 느낌이 들었다.GitHub - lwouis/alt-tab-macos: Windows alt-tab on macOS
Cmd+backtick
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도구를 찾아다니게 되는 이유는 저 단축키만으로는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.